사업목적

비산배출시설 관리제도란?

비산배출시설 관리제도는 유해대기오염물질(Hazardous Air Pollutants: HAPs)을 비산배출하는 시설·공정 등을 관리하는 것으로, 대상 사업장은 해당 시설에 대한 시설관리기준을 준수하여 비산배출되는 HAPs를 최소화하여야 합니다. 이를 통해 깨끗하고 안전한 대기환경을 만들고자 하는 제도입니다.

비산배출시설 시설관리기준 정기점검이란?

비산배출시설의 신고 및 시설관리기준(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별표10의2)의 준수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, 대상 사업장은 한국환경공단으로부터 3년마다 정기점검을 받아야 합니다.
점검 결과, 해당 시설이 시설관리기준 부적합인 경우, 관할 환경청장은 시설의 개선 등 필요한 조치를 명할 수 있습니다.

대상업종

「대기환경보전법」 시행령에서 정한 업종에 속하고, 동법 시행규칙 ‘비산배출의 저감을 위한 시설관리 기준’에서 정한 관리대상물질을 취급ㆍ배출하며, 시설관리기준에서 정한 시설을 설치ㆍ운영 중인 사업장이 대상입니다.

  • 원유 정제처리업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19
  • 석유화학계 기초화학물질 제조업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38
  • 합성고무 제조업         8
  • 합성수지 및 기타 플라스틱 물질 제조업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97
  • 파이프라인 운송업       7
  • 위험물품 보관업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22
  • 제철업    4
  • 제강업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15
  • 접착제 및 젤라틴 제조업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83
  • 그 외 기타 고무제품 제조업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23
  • 플라스틱 필름 제조업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54
  • 플라스틱 시트 및 판 제조업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32
  • 벽 및 바닥 피복용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         9
  • 플라스틱 포대, 봉투 및 유사제품 제조업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23
  • 플라스틱 접착처리 제품 제조업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58
  • 플라스틱 적층, 도포 및 기타 표면처리제품 제조업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143
  • 그 외 기타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27
  • 축전지 제조업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51
  • 기타 절연선 및 케이블 제조업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35
  • 직물, 편조원단 및 염색 가공업            12
  • 적층, 합성 및 특수 표면처리 종이 제조업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35
  • 벽지 및 장판지 제조업        8
  • 전자감지장치 제조업   3
  • 그 외 기타 전자부품 제조업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99
  • 냉간 압연 및 압출 제품 제조업            12
  • 알루미늄 압연,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23
  • 강관 제조업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34
  • 강관 가공품 및 관 연결구류 제조업0
  • 도장 및 기타 피막처리업292
  • 피복 및 충전 용접봉 제조업  2
  • 그 외 기타 분류안된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39
  • 자동차용 신품 동력전달장치 제조업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20
  • 자동차용 신품 조향장치, 현가장치 제조업        8
  • 자동차용 신품 제동장치 제조업   3
  • 그 외 기타 자동차 부품 제조업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167
  • 자동차 중고 부품 재제조업 1
  • 강선 건조업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69
  • 선박 구성부분품 제조업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42
  • 기타 선박 건조업    4

비산배출 사업장 현황

「대기환경보전법」 제38조의2(비산배출의 설치신고 등)에 따라 전국 1,621개소(’21.12월 기준)의 사업장이 비산배출시설을 설치·운영하고 있습니다.

[권역별 신고현황]
  • 수도권대기환경청
    1단계:36, 2단계:289, 3단계:380, 합계:705
  • 원주지방환경청
    1단계:36, 2단계:289, 3단계:380, 합계:705
  • 금강유역환경청
    1단계:30, 2단계:113, 3단계:85, 합계:227
  • 대구지방환경청
    1단계:16, 2단계:64, 3단계:89, 합계:169
  • 전북지방환경청
    1단계:15, 2단계:17, 3단계:46, 합계:78
  • 낙동강유역환경청
    1단계:48, 2단계:89, 3단계:64, 합계:201
  • 영산강유역환경청
    1단계:30, 2단계:69, 3단계:66, 합계:165
전체 신고사업장 현황
1단계:181, 2단계:682, 3단계:758, 합계:1,621

비산배출 저감을 위한 시설관리기준 정기점검

’16년부터 「대기환경보전법」 시행령 제51조의3 제3항(별표10의3)에 따라 비산배출시설 신고 사업장을 대상으로 “비산배출 저감을 위한 시설관리기준 정기점검”을 수행하고 있습니다.

[정기점검 수행현황]
  • 수도권동부환경본부
    수도권+원주(2019:161, 2020:130, 2021:336, 합계:627)
  • 전북환경본부
    금강+전북+영산강(2019:108, 2020:78, 2021:186, 합계:372)
  • 부산울산경남환경본부
    대구+낙동강(2019:92, 2020:78, 2021:146, 합계:316)
전국정기점검 사업장
2019:361, 2020:286, 2021:668, 합계:1,315